9월, 2023의 게시물 표시

라마르크 용불용설 후성유전학으로 부할한다.

라마르크 용불용설 후성유전학으로 부할한다. 인간의 성격 발달에 끼치는 영향을 두고 벌어지는 논쟁에 흔히 등장하는 대립 구도가 ‘본성 대 양육’이다. 이 구도를 생물학적 언술로 바꾸면 ‘유전 대 환경’이 되는데, 생물학 영역에서 이 대립 구도를 새롭게 해명하는 분야로 후성유전학이 떠오르고 있다.    ‘경험은 어떻게 유전자에 새겨지는가’  유전자 결정론에 반기를 들고 나온 것이 후성유전학이다.  후천적 경험이 유전자와 함께 작용해 생명체의 형질을 만들어낸다는 것이 후성유전학의 핵심 주장이다. 유전자가 켜지거나 꺼지는 데 핵심 기능을 하는 것이 ‘메틸기’인데 이 메틸기가 유전자에 달라붙으면(곧 메틸화하면) 그 유전자의 기능이 꺼지고, 메틸기가 유전자에서 떨어지면(곧 탈메틸화하면) 유전자의 기능이 켜진다.   메틸화 또는 탈메틸화를 통해 생명체의 특성이 만들어진다.  후성유전의 효과를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이 일란성 쌍둥이다.  어린 쌍둥이일수록 그 효과의 패턴이 유사하다가 나이가 들면서 점차 달라진다. 각기 다른 경험이 쌓이면서 패턴이 불일치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것이다.  더 직접적인 사례는 꿀벌에게서 볼 수 있다.  일벌과 여왕벌은 유전자상으로는 전혀 차이가 없다. 그런데도 여왕벌은 일벌보다 몸집이 2배나 크고 수명은 20배나 길다. 또 일벌에게 있는 벌침과 꽃가루바구니가 여왕벌에게는 없다.  일벌 애벌레와 달리 여왕벌 애벌레는 로열젤리를 먹는데, 로열젤리 속 단백질이 특정한 유전자를 활성화함으로써 애벌레를 여왕벌로 만드는 것이다. 이런 후성유전이 세대를 넘어 대물림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연구팀은 한쪽에는 새끼 쥐를 잘 보살피는 어미 쥐를 넣고, 다른 쪽에는 그렇지 않은 어미 쥐를 넣어 새끼를 기르게 했다. 새끼를 보살피지 않는 어미 쥐 밑에서 자란 새끼 쥐들을 보니, 뇌 속의 특정 유전자가 활성화되지 못했다. 그 결과로 이 새끼 쥐들은 어미 쥐를 닮아 자식 쥐를 돌보지 않는 경향이 더 컸다. 또 이 쥐들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단백질을 더 적게 생산했고 그런

우라늄 방사선붕괴 과정

우라늄 상식 베타붕괴 음의. 양의 붕괴

상반기 나라살림 83조 적자… 연간 100조 넘기나

이미지
상반기 나라살림 83조 적자… 연간 100조 넘기나 상반기 나라살림 83조 적자… 연간 100조 넘기나 전체메뉴 홈 경제 · 금융 경제동향 상반기 나라살림 83조 적자… 연간 100조 넘기나 입력2023.08.10 10:00:29 수정 2023.08.10 19:46:43 facebook twitter kakao email 복사  가 저장 기재부, 월간 재정동향 8월호 한달만에 적자 규모 30조 증가 올 관리재정수지 목표 -58조 넘겨 세수펑크로 하반기 더 늘어날듯 기재부 사옥 전경-세종청사 [기획재정부 제공] 나라 살림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가 상반기에만 83조 원 적자로 나타났다. 정부가 올해 예산을 편성하며 잡았던 연 58조 원 적자를 넘었다. 점점 더 커지는 ‘세수 펑크’에 올해도 또 100조 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윤석열 정부가 천명한 ‘긴축 재정’으로의 기조 전환이 무색한 결과다. 10일 기획재정부의 ‘월간 재정 동향 8월호’에 따르면 6월 말 누계 총수입은 1년 전보다 38조 1000억 원 감소한 296조 2000억 원, 총지출은 57조 7000억 원 줄어든 351조 7000억 원으로 통합재정수지는 55조 4000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여기에서 사회보장성기금수지를 제외해 실질적인 나라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83조 원 적자였다. 올해 전체 관리재정수지로 58조 원의 적자를 예상했는데 상반기에만 이보다 더 큰 마이너스를 기록했다는 의미다. 정부는 “통상적으로 2분기에는 주요 세입이 적어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이 연중 가장 심화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올 상반기 경기 침체로 8월 법인세 예납분이 지난해보다 크게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적자 폭은 하반기에 더 커질 수 있다. 실제로 역대 최악인 117조 원의 관리재정수지 적자를 기록했던 지난해의 경우 상반기에 101조 9000억 원의 적자를 나타냈다. 하반기 적자는 15조 1000억 원을 기록해 적자 폭이 더 커졌다. 관련기사 불어난 재정 적자의 배경에는

엔화, 달러당 170엔으로 역사적 폭락도 가능"

엔화, 달러당 170엔으로 역사적 폭락도 가능"

디플레 공포에 부동산 위기까지”…흔들리는 위안화[한중일 통화 어디로①

디플레 공포에 부동산 위기까지”…흔들리는 위안화[한중일 통화 어디로①

2023 부동산세법 개정안

2023 부동산세법 개정안